remnant GemTags /17
맥동하는 서리 보주를 생성합니다. 맥동할 때마다 주변의 적들에게 원소 노출을 유발합니다. 보주의 지속시간이 종료되면 기폭되어 주변 적들에게 냉기 피해를 주고 냉기 주입을 남깁니다.
전기 보주를 생성하여 주변 적들에게 연쇄 번개를 방출합니다. 보주는 만료될 때 번개 주입 잔류물을 남깁니다.
동결, 감전 또는 점화 상태의 적에게 깃든 원소 에너지를 소모하여, 주입 잔류물을 남기는 원소파를 생성합니다. 이 원소파는 같은 [Ailment|상태 이상]의 영향을 받는 적에게 퍼지지만, 더 퍼지지는 않습니다. 서리 구체에 시전하여 더 큰 냉기파를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
쇄도하는 비전 에너지를 생성하여 마나를 회복합니다. 활성화된 동안 플레이어가 원소 상태 이상에 영향을 받은 적들을 처치하면 일정 확률로 마나 잔류물이 생성되고, 원소 상태 이상에 걸린 대상에게 치명타를 명중시키면 몇 초마다 마나 잔류물이 생성됩니다. 마나 잔류물을 획득하면 마나를 얻으며, 이 마나는 최대 마나를 초과하여 넘칠 수 있습니다.
활성화된 동안, 부활 소환수가 죽을 때 최대 생명력의 일정 비율을 으스스한 잔류물에 저장합니다. 으스스한 잔류물은 획득 가능하며, 으스스한 부활을 사용하면 획득한 생명력을 소모하여 최대 그만큼의 생명력에 해당하는 죽은 소환수부활시킵니다.
적 안에 화염의 씨앗을 심습니다. 적에게 일정량 이상 피해를 주거나 적을 바로 처치하면 씨앗이 폭발하며 범위 내에 피해를 주고 화염 주입 잔류물을 남깁니다.
적의 피를 마셔 생명력을 회복합니다. 활성화된 동안 플레이어가 적을 처치하면 일정 확률로 생명력 잔류물이 생성되고, 대상을 명중시키면 몇 초마다 생명력 잔류물이 생성됩니다. 생명력 잔류물을 획득하면 생명력을 얻으며, 이 생명력은 최대 생명력을 초과하여 넘칠 수 있습니다.
주위에 균열을 생성하여 주변 차율라의 화염을 볼 수 있게 합니다. 이 스킬이 활성화된 동안 플레이어는 균열 안에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잔류물을 생성하는 스킬에 적용되어, 잔류물을 더 멀리서 획득할 수 있게 합니다.
잔류물을 생성하는 스킬에 적용되어, 잔류물을 더 멀리서 획득하고 일정 확률로 추가 잔류물을 생성하게 합니다.
잔류물을 생성하는 스킬에 적용되어, 해당 잔류물 획득 시 플레이어 대신 플레이어에게 접근해 있는 동료들에게 영향을 주게 합니다.
잔류물을 생성하는 스킬에 적용되어, 생성되는 잔류물을 더 강력하게 만듭니다.
잔류물을 생성하는 스킬에 적용되어, 생성되는 잔류물을 더 강력하게 만듭니다. 대신 잔류물의 효과가 지연됩니다.
잔류물을 생성하는 스킬에 적용되어, 생성되는 잔류물을 더 강력하게 만듭니다. 대신 잔류물의 효과가 지연됩니다.
직접 사용하거나 발동시키는 근접 공격 스킬에 적용됩니다. 보조 대상 스킬로 출혈 상태의 적에게 최후의 일격을 가하면 피 잔류물이 생성됩니다. 피 잔류물을 습득하면 짧은 시간 동안 생명력 재생 속도가 증가합니다.
활성화된 동안, 대상을 동결시키거나 감전시키거나 점화할 때 일정 확률로 주입 잔류물을 생성합니다.
Skill Gem /6
쇄도하는 비전 에너지를 생성하여 마나를 회복합니다. 활성화된 동안 플레이어가 원소 상태 이상에 영향을 받은 적들을 처치하면 일정 확률로 마나 잔류물이 생성되고, 원소 상태 이상에 걸린 대상에게 치명타를 명중시키면 몇 초마다 마나 잔류물이 생성됩니다. 마나 잔류물을 획득하면 마나를 얻으며, 이 마나는 최대 마나를 초과하여 넘칠 수 있습니다.
활성화된 동안, 부활 소환수가 죽을 때 최대 생명력의 일정 비율을 으스스한 잔류물에 저장합니다. 으스스한 잔류물은 획득 가능하며, 으스스한 부활을 사용하면 획득한 생명력을 소모하여 최대 그만큼의 생명력에 해당하는 죽은 소환수부활시킵니다.
적의 피를 마셔 생명력을 회복합니다. 활성화된 동안 플레이어가 적을 처치하면 일정 확률로 생명력 잔류물이 생성되고, 대상을 명중시키면 몇 초마다 생명력 잔류물이 생성됩니다. 생명력 잔류물을 획득하면 생명력을 얻으며, 이 생명력은 최대 생명력을 초과하여 넘칠 수 있습니다.
주위에 균열을 생성하여 주변 차율라의 화염을 볼 수 있게 합니다. 이 스킬이 활성화된 동안 플레이어는 균열 안에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DNT] Hunt em down
활성화된 동안, 대상을 동결시키거나 감전시키거나 점화할 때 일정 확률로 주입 잔류물을 생성합니다.
Skill Gem 화질 /7
(0–10)%의 확률로 주입 잔류물 1개 추가 생성
잔류물 하나가 [Mana|마나] (0–40) 부여
잔류물소환수의 최대 생명력의 (0–5)% 저장
보조 대상 스킬로 소환된 잔류물의 효과
(0–15)% 증가
적 처치 시 (0–10)% 확률로 잔류물 생성
보조 대상 스킬로 소환된 잔류물의 효과
(0–20)% 증가
대상 동결위세 하나당 (0–2)%의 확률로
냉기 잔류물 생성
점화되지 않은 대상 점화(0–2)% 확률로
화염 잔류물 생성
감전되지 않은 대상 감전(0–2)% 확률로
번개 잔류물 생성
Support Gem /8
잔류물을 생성하는 스킬에 적용되어, 잔류물을 더 멀리서 획득할 수 있게 합니다.
잔류물을 생성하는 스킬에 적용되어, 잔류물을 더 멀리서 획득하고 일정 확률로 추가 잔류물을 생성하게 합니다.
잔류물을 생성하는 스킬에 적용되어, 해당 잔류물 획득 시 플레이어 대신 플레이어에게 접근해 있는 동료들에게 영향을 주게 합니다.
잔류물을 생성하는 스킬에 적용되어, 생성되는 잔류물을 더 강력하게 만듭니다.
잔류물을 생성하는 스킬에 적용되어, 생성되는 잔류물을 더 강력하게 만듭니다. 대신 잔류물의 효과가 지연됩니다.
잔류물을 생성하는 스킬에 적용되어, 생성되는 잔류물을 더 강력하게 만듭니다. 대신 잔류물의 효과가 지연됩니다.
잔류물을 생성하는 스킬에 적용되어, 잔류물을 더 멀리서 획득할 수 있게 합니다.
직접 사용하거나 발동시키는 근접 공격 스킬에 적용됩니다. 보조 대상 스킬로 출혈 상태의 적에게 최후의 일격을 가하면 피 잔류물이 생성됩니다. 피 잔류물을 습득하면 짧은 시간 동안 생명력 재생 속도가 증가합니다.
기타 속성 부여 /7
이름레벨DomainPre/SufDescriptionWeight
1Atlas접두어에센스에 갇힌 몬스터가 50%의 확률로 타락의 유물 보유
지도에 에센스 1개 추가 등장
사용 횟수 3회 남음
map extra content weighting [1]
1Atlas접두어에센스에 갇힌 몬스터가 50%의 확률로 타락의 유물 보유
지도에 에센스 2개 추가 등장
사용 횟수 15회 남음
map extra content weighting [1]
1MapDevice고유폭발물 개수 20% 증가
유적에 접미어 속성 1개 추가 부여
지역에 몬스터 표시물 수량 50% 증가
탐험 인카운터 1개 추가 등장
지역에 탐험 인카운터 1개 등장
아마나무의65ExpeditionRelic접두어remnant effect +% [8,15]
- 아마나무65ExpeditionRelic접미어remnant pickup range +% [11,18]
- 저술1Tower접미어지도 내 탐험의 유적 +1
- 유물1Tower접미어지도 내 유적의 효과 (3–6)% 증가
아이템 /1
날개 달린 탐험 갑충석
중첩 개수: 1 / 10
요구 사항: 레벨 68
지역에 탐험 인카운터 1개 추가 등장
지역에 룬 몬스터 표시물 수량 50% 증가
폭발물 최대 개수 20% 증가
지역 내 유적에 접미어 1개 추가
Passive /7
원소 주입 지속시간 20% 증가
잔류물15% 더 먼 곳에서 획득 가능
위치: 카오스 피해 20% 증가
위치: 스킬 효과 지속시간 18% 증가
플레이어가 생성하는 잔류물15% 확률로 효과 2번 부여
잔류물 획득 시 생명력 최대치의 3% 회복
잔류물 획득 시 마나 최대치의 3% 회복
플레이어가 생성하는 주입 잔류물이 항상 무작위 원소
지도 내 유적에 접두어 속성 1개 추가 부여
지도 내 유적에 접미어 속성 1개 추가 부여
지도 내 유적의 효과 35% 증가
전직 Passive /2
캐릭터:
스킬이 기본 마나 소모와 동일한 기본 생명력 생명력 소모를 얻음
life remnants gain per globe [1]
전직: 스톰위버
캐릭터:
플레이어가 생성하는 잔류물이 획득 3초 후 다시 한 번 나타남
무궁한 주얼 Passive /1
가치 있는 십일조
심연 주요
공물 점수 10당 잔류물의 효과 1% 증가
Edit

Wikis Content is available under CC BY-NC-SA 3.0 unless otherwise noted.